JIHANS GAME
  • AI로 생성한 그림의 저작권, 소유권 및 상업적 이용이 가능할까? 궁금하다면! (달리,미드저니,빙,스테이블 디퓨전)
    2024년 01월 03일 09시 18분 51초에 업로드 된 글입니다.
    작성자: 지한 (JiHan)
    반응형

    ※  Ai 저작권, 소유권 및 상업적 이용

    Ai 모델별 Ai로 생성한 콘텐츠의 저작권 및 소유권, 상업적 이용이 가능할까?

    Ai 모델 회사 콘텐츠 소유권 상업적 이용
    Midjourney Midjourney 사용자 가능
    스테이블 디퓨전 Stability AI 사용자 가능
    달리 OpenAI 사용자 가능
    달리, 빙 Microsoft 사용자 불가능

    바로 위 테이블에서 볼 수 있듯이 마이크로소프트 빙을 제외한 미드저니, 스테이블 디퓨전, 달리에서 생성된 이미지는 상업적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그러나 상업적으로 사용할 권한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미지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면 큰 리스크가 따르게 됩니다.

    테이블에 존재하는 4개의 회사 모두 약관에 면책 조항을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조항들은 모두 AI 이미지 사용으로 인한 문제 발생 시 사실상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는 것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저작권은 창작물의 원작자에게 부여되는 법적 권리로, 타인이 해당 창작물을 복제, 배포, 수정하려면 원작자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AI가 아직 자리잡지 않았기 때문에, AI가 생성한 그림이나 텍스트 등의 콘텐츠는 많은 국가에서 명확한 규정이 아직 마련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AI 작품에 대한 저작권은 국가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시간이 흘러 규정이 마련된다면 바뀔 수 있습니다.

    ※ 면책조항

    미드저니 (이용약관 10항) <Midjourney AI>
    스테이블 디퓨전 (이용약관 6항) <Stability AI>
    OPENAI 달리 (이용약관 7항) <DALL-E>
    마이크로소프트 빙, DALL-E (이용약관 9항) <Microsoft being>

     

      Ai 모델별 장단점

    미드저니
    저는 기획서를 작성할 때 미드저니 Ai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유료결제)
    로고, 일러스트 등을 생성할 때 미드저니 Ai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미지 프롬프트와 텍스트 프롬프트 작성으로 제가 원하는 비주얼적으로 표현을 할 수 있어서 깔끔하게 만들 수 있고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정 느낌의 남자 마법사 클래스를 만들고 싶을 때, 막상 구글이나 핀터레스트에는 원하는 이미지가 없습니다.
    Ai를 이용해서 프롬프트를 자세하게 쓴다면 원하는 느낌에 가까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일러스트형 이미지 생성 시 그림이 부자연스럽거나 뭉개지는 현상이 있습니다.

    달리
    달리의 장점은 무료로 이미지를 빠르게 생성하는 것이지만 생성된 이미지를 보면 전부 불만족스러웠습니다. 프롬프트 몇번써서 해보니 너무 별로라 안썼어요.


    빙의 장점도 무료입니다. 생성된 이미지가 달리에 비해선 그나마 나은편입니다. 이미지 프롬프트를 사용할 수 없어서 아쉬웠습니다. 

    스테이블 디퓨전
    사용해본적이 없어서 몰라용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사용감에 있어서는 미드저니 AI 가 압도적으로 좋았습니다.

    제가 원하는 느낌, 제가 플레이하고 있는 캐릭터 및 예시 이미지를 이미지 프롬프트로 활용하면 대부분 만족스러운 결과물이 나옵니다.

    또한 결과물들은 모두 아카이브 갤러리에 자동으로 저장되어 언제든지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특히나 미드저니의 경우 사용자의 서버에 디스코드 봇으로 초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부분이 압도적입니다. 

    채팅 채널별로 기획분야를 다르게 만들어 놓고 하니까 정리하기도 편하고 어떤 것을 생성했었는지 기록을 검토할 수 있는 부분에서 큰 매력을 느꼈습니다. 

    미드저니 광고아님 내돈내산

    반응형
    댓글